유로파 리그 결승전에서 맞붙는 토트넘의 포스테코글루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아모림 감독. 두 감독의 전술은 극명히 대비됩니다. 포스테코글루는 강한 전방 압박을, 아모림은 상대를 끌어당긴 후 공간을 활용하는 전략을 선호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감독의 전술적 접근법과 경기에서 예상되는 전략적 포인트를 분석해봅니다.
1. 포스테코글루의 전방 압박: 승부수일까, 독이 될까?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공격적인 전방 압박을 통해 상대의 후방 빌드업을 차단하고 빠른 전환을 노리는 전술을 펼칩니다. 이번 유로파 리그 결승전에서도 토트넘은 손흥민, 브레넌 존슨, 솔란케를 앞세워 맨유의 쓰리백을 강하게 압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방 압박의 포지셔닝:
- 손흥민: 맨유의 우측 센터백을 강하게 압박
- 존슨: 중앙에서 패스 차단 및 빌드업 방해
- 솔란케: 좌측 센터백을 마크하며 공을 압박
미드필더 라인에서는 벤탄쿠르가 전진 배치되어 맨유의 빌드업을 방해합니다. 이 과정에서 토트넘은 4명의 전방 압박 라인을 형성해 상대의 후방 빌드업을 차단하려 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 전방 압박은 큰 리스크를 동반합니다. 토트넘은 공격 시 **두 명의 센터백과 한 명의 수비형 미드필더**만 남기고 나머지 선수들이 전진합니다. 이 때문에 좌우 측면과 중앙의 공간이 넓게 열릴 수 있으며, 특히 빠른 역습에 취약해집니다.
2. 아모림의 탈압박 전략: 상대를 끌어당기고 공간을 활용한다
아모림 감독은 상대의 전방 압박을 적극적으로 유도한 후, 뒤로 물러나며 공간을 창출하는 전략을 사용합니다.
맨유의 경우, 전방 압박을 받을 경우 아래와 같은 패턴을 보입니다:
- 좌우 윙백이 깊숙이 내려와 풀백을 끌어낸다.
- 중앙 수비수(맥과이어 등)가 한 칸 올라와 중원에서 숫자를 늘린다.
- 브루노 페르난데스가 중원으로 내려와 패스 연결고리가 된다.
이 과정에서 **가르나초**와 같은 측면 공격수는 아래와 같은 움직임을 보입니다:
- 일시적으로 후방으로 내려와 수비수를 끌어낸다.
- 공을 받은 후, 빠른 스프린트로 다시 전방으로 침투한다.
- 이때 브루노 페르난데스는 **정확한 패스**로 가르나초의 침투를 지원한다.
이 패턴은 맨유가 상대의 전방 압박을 유도하고, 뒤로 물러나면서 **측면 공간을 넓게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3. 토트넘의 약점: 노출되는 측면과 미드필드 공간
토트넘이 전방 압박에 집중할 경우, **좌우 풀백이 공격적으로 올라가면서 측면 공간이 비어버리는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실제로 크리스탈 팰리스와의 경기에서도 이러한 장면이 다수 포착되었습니다:
- 팰리스의 쓰리백 공격수들은 측면으로 빠르게 침투하여 토트넘의 풀백 뒷공간을 공략했다.
- 토트넘의 두 센터백은 넓은 공간을 모두 커버하기 어려워, 팰리스가 **측면에서 쉽게 크로스를 올릴 수 있는 상황**이 자주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은 **맨유의 가르나초와 브루노 페르난데스**가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활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포스테코글루의 딜레마: 압박할 것인가, 지킬 것인가?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이번 결승전에서 두 가지 선택지에 직면하게 됩니다:
1) 공격적 전방 압박 유지:
- 장점: 빠른 공격 전환으로 상대 수비를 무너뜨릴 수 있다.
- 단점: 맨유의 빠른 역습에 취약해지며, 측면과 미드필드 공간이 비게 된다.
2) 실리적인 운영:
- 장점: 수비 라인을 내리고, 상대의 역습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 단점: 공격 주도권을 맨유에 내주고, 상대의 빌드업을 허용할 가능성이 크다.
5. 결론: 유로파 리그 결승전의 승자는?
이번 유로파 리그 결승전은 **전방 압박과 탈압박의 대결**입니다. 포스테코글루가 자신의 공격적인 철학을 고수할지, 아니면 맨유의 탈압박을 의식해 실리적인 운영을 선택할지가 승패의 열쇠가 될 것입니다.
결국, 이번 경기에서 토트넘이 전방 압박을 통해 맨유의 빌드업을 차단할 수 있다면 **초반 주도권을 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맨유가 토트넘의 압박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가르나초와 브루노 페르난데스가 빠른 역습을 성공시킨다면, 토트넘의 뒷공간은 큰 위협이 될 것입니다.
포스테코글루가 '압박'을 선택할지, '실리'를 선택할지 — 이 결정이 유로파 리그 트로피의 향방을 결정지을 핵심 포인트입니다.